종목명 뒤에 '우'  가 붙은 삼성전자

종목명 뒤에 '우B' 가 붙은 진흥기업우B

종목명 뒤에 '2우B' 가 붙은 현대차2우B

 

우 / 우B / 2우B 등 차이가 어떻게 될까요? 알아보도록 하려고 합니다.

 

우선주 종목명 

 

1. 구형 우선주 

 

1996년 이전 발행된 우선주는 구형 우선주로 회사명 뒤에 우선주를 의미하는 '우' 가 붙어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삼성중공, 현대차, LG화학이 있습니다.

 

2. 신형 우선주

 

1996년 이후 발행된 우선주는 신형 우선주로 회사명 뒤에 채권 Bond의 B 를 붙여 '우B' 가 붙어있습니다.

채권에 대한 성격으로 배당에 대한 권리를 보장해주는 채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물산우B, 진흥기업우B이 있습니다.

 

3. 그렇다면 '우B' 앞에 숫자는?

 

2우B -> 두 번째 우선주

3우B -> 세 번째 우선주

단순히 순번을 적어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대신증권2우B, 미래에셋증권2우B이 있습니다.

 

이렇게 우선주 종목명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또 그렇다면 누적적 우선주, 비누적적 우선주 등 우선주의 종류도 알아야겠죠?
이는 보통주 vs 우선주 , 우선주 종류 , 삼성전자우 삼성화재우 현대차2우B :: 스톡있슈? (tistory.com) 에 이미 게시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통주우선주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보통주 와 우선주 는 둘 다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이지만, 권리와 의무에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주 

 

이익배당상의 순위에 다라 상대적으로 분류된 특별한 권리내용이 정해지지 않은 일반주식

  • 의결권 : 주주총회에서 의결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 배당권 : 기업의 이익을 배당으로 나눠받을 수 있는 권리
  • 잔여재산 분배권 : 회사 청산 시, 잔여재산을 배분받을 수 있는 권리

모두 가지고 있으며, 주식의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우선주 

 

보통주보다 재산적 내용에 있어서 우선적 지위가 인정된 주식

  • 우선 배당권 : 기업의 이익 발생 시, 우선적으로 배당받을 수 있는 권리
  • 우선 상환권 : 회사 청산 시, 우선적으로 주식을 상환받을 수 있는 권리
  • 우선 잔여재산 분배권 : 회사 청산 시, 잔여재산을 배분받을 때 우선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는 권리

보통주에 대비되는 주식으로 의결권을 갖지 않고, 재산적으로 우위에 있는 형태 ( 높은 배당, 잔여재산분배 우선적지위 등 ) 입니다. 종목명 뒤에 ' 우 ' 가 붙습니다. ( ex. 삼성전자우 , 삼성화재우 , 현대차2우B )

-> 우선주는 배당관련 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리합니다.

 

후배주

 

보통주보다 이익배당 또는 잔여재산 분배 등에 있어서 열후적 지위에 있는 주식, 열후주 라고도 한다.

 

순위를 정리하자면 후배주 < 보통주 < 우선주 순입니다.

후배주는 주주로서 누리는 모든 권리가 가장 뒤쳐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우선주 종류 

 

이익배당우선주

 

보통주보다 이익배당에 대한 권리를 유리하게 부여한 우선주로서 그 권리 성격에 따라 누적적 우선주와 참가자 우선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누적적 우선주 : 올해 실적이 안 좋아 당해 연도의 배당이 소정의 우선배당률에 미치지 못할 경우, 그 부족액을 다음연도의 이익에서 충당할 수 있는 우선주 

( ↔  비누적적우선주 - 부족액을 다음 연도의 이익에서 충당하지 않고 그 연도의 이익만을 표준으로 하는 우선주 )

 

참가적 우선주 : 우선적으로 배당을 받고, 다시 그 배당을 초과하는 배당을 더 받을 수 있게되는 우선주

( ↔  비참가적 우선주 - 정해진 배당만큼만 받고 그 이상의 권리는 없는 우선주 )

 

 

전환우선주

 

우선주주의 의사에 따라 약정한 전환비율에 의한 보통주로의 전환권을 부여한 우선주

 

 

상환우선주

 

사전약정에 의하여 우선주주 또는 발행회사의 의사에 따라 주식을 매입소각할 수 있는 우선주

 

 

보통주 와 우선주 , 우선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외에도 ' 우 ' 가 붙는 우선주 말고도 1우B 2우B 3우B 같이 뒤에 B가 붙거나 앞에 숫자가 붙는 우선주 들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선 추후 게시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모두들 안전한 투자, 건강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였습니다.

파이프라인 형식으로, 

비교적 꾸준하고 안전한 배당주를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배당주 순위를 보려고 합니다.

배당주 순위는 대표적으로 1) 배당수익률 기준 , 2) 배당금 기준 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후자 2) 배당금 기준 으로 보려고 합니다.

 

 

일단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배당금이란, 기업이 이익을 발생시켜 회사내에 누적하여 온 이익 잉여금의 일부를 기업의 소유중게 분배하는 것 입니다.

 

기업의 이익잉여금은,

1) 미처분 이익잉여금 (회사에 쌓아둠)

2) 재투자 (R&D, 수익을 위한 투자 등)
3) 배당 (주주환원)

 

등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자사주를 매입하는 형식이라던지, 현금배당이 아닌 주식배당을 하는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현상(?) 이여서 현금 배당 순위에 대해서만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먼저, 코스피 KOSPI 시장의 배당금 순위입니다.

 

- 삼성화재우

- 삼성화재

- 현대차2우B

- 현대차우

- 현대차3우B

 

가장 높은 순위의 주식들입니다.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삼성화재우 , 현대차2우B 는 역시,,,좋은 주식입니다.

 

인기있는 배당주 기업으로 기업은행 주식도 있는데, 아무래도 주가와 배당금이 낮다보니 순위에 보이지는 않네요.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코스닥 KOSDAQ 시장의 배당금 순위입니다.

 

- 한국기업평가

- 리노공업

- 크레버스

- 솔브레인

- 멀티캠퍼스

 

순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한국기업평가와 크레버스는 배당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익숙한 주식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에 있는 기업들과는 달리,

국내 기업들은 주주환원정책이라던지, 주가방어를 위한 행동이 많이 미비하다고 생각합니다.

 

금융감독원이나 국가기관에서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개개인들도 주식투자를 할 수 있도록 더 좋은 시장, 더 엄격한 처벌 (분식회계, 횡령 등) 로 더 믿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하지만 더 좋은 정책들도 지금 생겨나고 있을거라 믿고, 더 훌륭한 기업도 나타날거라 예상해봅니다.

 

해외 주식들도 좋지만, 이번 기회에 국내 주식들도 관심 가지면서 투자해보는 건 어떨까요?

모든 분들이 투자를 하면서 즐거운 미소를 짓기를 바랍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