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omegahealthcare.com

 

오늘은 미국 고배당주인 오메가 헬스케어 인베스터스 OHI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리츠인 부동산 투자 신탁회사

미국과 영국에 위치한 의료 관련 부동산에 대한 투자로 구성된 부문을 통해 운영됩니다.

장기 의료 산업에 자금과 자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 운영 회사 및 계열사와의 장기 임대 등을 통하여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출처 : omegahealthcare.com

 

( 2024.03 ) 현재 주가는 30달러 정도 합니다.

2011년도 부터 보면 주가는 큰 변동을 주거나 하진 않습니다.

 

주가 변동이 크지 않은만큼 시세차익을 크게 노려보진 못하는데요.

하지만 이 주식의 가장 큰 장점이 하나 있습니다.

 

출처 : omegahealthcare.com

 

바로 배당입니다.

오메가 헬스케어 인베스터스 OHI배당월은 2월/5월/8월/11월로 연 4회 배당을 합니다.

배당은 현재 0.67달러 -> 연 2.68달러 , 배당수익률 8.76% 입니다.

 

세후 연 2.278달러 , 배당수익률 7.41% 입니다.

 

 

주가변동이 크지 않아서 시세차익이 크지는 않지만

현금흐름을 위한 배당주 투자로서 나쁘지않은 주식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도 주가가 비교적 헷지일 때 한 번씩 매수하는 종목으로 배당을 짭짤하게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간단하게 배당주 하나 추천드립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입니다.

종목명 뒤에 '우'  가 붙은 삼성전자

종목명 뒤에 '우B' 가 붙은 진흥기업우B

종목명 뒤에 '2우B' 가 붙은 현대차2우B

 

우 / 우B / 2우B 등 차이가 어떻게 될까요? 알아보도록 하려고 합니다.

 

우선주 종목명 

 

1. 구형 우선주 

 

1996년 이전 발행된 우선주는 구형 우선주로 회사명 뒤에 우선주를 의미하는 '우' 가 붙어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삼성중공, 현대차, LG화학이 있습니다.

 

2. 신형 우선주

 

1996년 이후 발행된 우선주는 신형 우선주로 회사명 뒤에 채권 Bond의 B 를 붙여 '우B' 가 붙어있습니다.

채권에 대한 성격으로 배당에 대한 권리를 보장해주는 채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물산우B, 진흥기업우B이 있습니다.

 

3. 그렇다면 '우B' 앞에 숫자는?

 

2우B -> 두 번째 우선주

3우B -> 세 번째 우선주

단순히 순번을 적어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대신증권2우B, 미래에셋증권2우B이 있습니다.

 

이렇게 우선주 종목명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또 그렇다면 누적적 우선주, 비누적적 우선주 등 우선주의 종류도 알아야겠죠?
이는 보통주 vs 우선주 , 우선주 종류 , 삼성전자우 삼성화재우 현대차2우B :: 스톡있슈? (tistory.com) 에 이미 게시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 스톡인슈 ' 가 오래 전부터 투자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매수 예정인 종목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 리얼티인컴 (O) ' ,

제가 포스팅한 추천 미국 배당주 다섯 종목, (ETF 아닌 단일 종목) 에서도 얘기 드렸던 종목입니다.

출처 : 리얼티인컴

 

리얼티인컴 ( Realty Income Corporation )

 

미국 전역에 위치한 상업용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소유 및 관리하는 업체.

단독상가 매물을 취득하여 장기 순리스(Net Lease) 계약 방식으로 지역 및 전국망에 임대하는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매월 임차인들에게 월세를 받고 수익의 90% 이상을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환원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월 배당주 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전부터 그리고 현재도 사랑을 받고 있는 종목 중 하나 입니다.

 

출처 : 리얼티인컴

 

  •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이후 복합 연간 총수익률 13.9%
  •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이후 복합 연간 배당 성장률 4.3%
  • 644개월간 끊기지 않고 배당금 지급

출처 : 리얼티인컴

  • 부동산 총 가액 500억
  • Moody's(무디스, 뉴욕거래소) 와 S&P 신용등급 A3 / A-

출처 : 리얼티인컴

  • 장기 임대되어 있는 부동산만 15,450개 이상
  • 그 중 98.6% 임대 , 공실률은 1.4%
  • 1,300개 이상의 다른 고객들에게 임대하고 있으며 86개 이상의 별도 산업 분야 운영

출처 : 리얼티인컴

 

TOP 20 고객만 봐도

Walgreens , 7-Eleven , Wynn Resorts , FedEx , LA Fitness , CVS Pharmacy , Walmart ,,,

 

엄청나죠..?

 

출처 : 리얼티인컴

 

 

추가로 94년 상장 이후, 끊기지 않은 배당금지속적으로 올라온 배당성장률까지...

배당주를 투자하는 사람들에겐 너무나 사랑받을 수 밖에 없는 주식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여러가지 관점에서 판단하여 투자를 하셔야하고 어떠한 관점에서는 비관적일 수 있지만,

주가 대비 배당수익률이 나쁘지 않다면 너무나 좋은 배당성향 주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두들 즐거운 투자 되시길 바라며 지금까지 리얼티인컴에 대한 정보였습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는 투자자분들을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통주우선주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보통주 와 우선주 는 둘 다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이지만, 권리와 의무에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주 

 

이익배당상의 순위에 다라 상대적으로 분류된 특별한 권리내용이 정해지지 않은 일반주식

  • 의결권 : 주주총회에서 의결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 배당권 : 기업의 이익을 배당으로 나눠받을 수 있는 권리
  • 잔여재산 분배권 : 회사 청산 시, 잔여재산을 배분받을 수 있는 권리

모두 가지고 있으며, 주식의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우선주 

 

보통주보다 재산적 내용에 있어서 우선적 지위가 인정된 주식

  • 우선 배당권 : 기업의 이익 발생 시, 우선적으로 배당받을 수 있는 권리
  • 우선 상환권 : 회사 청산 시, 우선적으로 주식을 상환받을 수 있는 권리
  • 우선 잔여재산 분배권 : 회사 청산 시, 잔여재산을 배분받을 때 우선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는 권리

보통주에 대비되는 주식으로 의결권을 갖지 않고, 재산적으로 우위에 있는 형태 ( 높은 배당, 잔여재산분배 우선적지위 등 ) 입니다. 종목명 뒤에 ' 우 ' 가 붙습니다. ( ex. 삼성전자우 , 삼성화재우 , 현대차2우B )

-> 우선주는 배당관련 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리합니다.

 

후배주

 

보통주보다 이익배당 또는 잔여재산 분배 등에 있어서 열후적 지위에 있는 주식, 열후주 라고도 한다.

 

순위를 정리하자면 후배주 < 보통주 < 우선주 순입니다.

후배주는 주주로서 누리는 모든 권리가 가장 뒤쳐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우선주 종류 

 

이익배당우선주

 

보통주보다 이익배당에 대한 권리를 유리하게 부여한 우선주로서 그 권리 성격에 따라 누적적 우선주와 참가자 우선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누적적 우선주 : 올해 실적이 안 좋아 당해 연도의 배당이 소정의 우선배당률에 미치지 못할 경우, 그 부족액을 다음연도의 이익에서 충당할 수 있는 우선주 

( ↔  비누적적우선주 - 부족액을 다음 연도의 이익에서 충당하지 않고 그 연도의 이익만을 표준으로 하는 우선주 )

 

참가적 우선주 : 우선적으로 배당을 받고, 다시 그 배당을 초과하는 배당을 더 받을 수 있게되는 우선주

( ↔  비참가적 우선주 - 정해진 배당만큼만 받고 그 이상의 권리는 없는 우선주 )

 

 

전환우선주

 

우선주주의 의사에 따라 약정한 전환비율에 의한 보통주로의 전환권을 부여한 우선주

 

 

상환우선주

 

사전약정에 의하여 우선주주 또는 발행회사의 의사에 따라 주식을 매입소각할 수 있는 우선주

 

 

보통주 와 우선주 , 우선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외에도 ' 우 ' 가 붙는 우선주 말고도 1우B 2우B 3우B 같이 뒤에 B가 붙거나 앞에 숫자가 붙는 우선주 들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선 추후 게시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모두들 안전한 투자, 건강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였습니다.

오늘은 해외 미국주식 대표 배당주 다섯 종목에 대해서 간단하게 적어보고 가려고 합니다.

실제로 저도 투자 중인 종목 겸 투자했던 종목들 입니다. 제가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해외 ETF 도 너무 좋은 상품들이 많으나, 단일 종목 5가지에 대해서만 해보려 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상세정보를 다루진 않고, 간단한 정보만 작성하고 가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1. 리얼티인컴 ( O )

 

배당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모두들 알고 있는 배당주의 왕이라고 꼽히는 리얼티인컴, 부동산투자신탁회사(Reitz) 입니다. 추후 게시글로 상세히 알아보겠지만, 오랫동안 배당을 지급하며 사랑받고 있는 주식입니다.

 

- 배당주기 : 매월 ( 월배당주 )

- 배당락일 : 매월 말일 ( 29 - 31일 )

- 배당일 : 매월 중순 ( 13 - 16일 )

- 배당금 : 0.256 달러 ( 2024.01 기준 )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2. 오메가 헬스케어 인베스터스 ( OHI )

 

리얼티인컴과 마찬가지로 부동산 투자신탁회사(Reitz) 입니다. 상업용 부동산을 주로 하는 리얼티인컴과 달리 의료 관련 부동산에 대한 투자로 운영 되고 있습니다. 주가 대비 높은 배당수익률을 가지고 있어 사랑받는 주식 중 하나 입니다.

 

- 배당주기 : 연 4회 배당 ( 2월/5월/8월/11월 )

- 배당락일 : 배당일 ( 14 - 16일 ) 전

- 배당일 : 2월 , 5월 , 8월 , 11월 중순 ( 15일 )

- 배당금 : 0.67 달러 ( 2024.02 기준 )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3. 코카콜라 ( KO )

 

워렌버핏이 배당으로 엄청난 효과를 보고 있는 주식, 코카콜라 ( KO ) 입니다.

세상은 검은물 메타 라고 해서 코카콜라와 스타벅스가 배당주로 워낙 유명하죠? 

저도 바로 추천하는 그 주식, 코카콜라 ( KO ) 입니다.

 

- 배당주기 : 연 4회 ( 4월/7월/10월/12월 )

- 배당락일 : 배당일 ( 14 - 16일 )전

- 배당일 : 4월/7월/10월 -> 월 초 ( 2 - 4일 ) // 12월 -> 월 중순 ( 14 - 16일 )

- 배당금 : 0.46 달러 ( 2023.11 기준 )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4. 애브비 ( ABBV )

 

의약품 및 치료제 연구에 힘쓰는 바이오 제약 회사 애브비 ( ABBV ) 입니다.

주가도 잘 오르고 배당도 꾸준히 잘 주는 제약 회사 입니다. R&D 가 대박나면 시세차익도 노려볼 수 있고, 꾸준한 배당도 주는 기업으로 두 마리 토끼 둘 다 노려볼 수 있는 주식 입니다.

 

- 배당주기 : 연 4회 ( 2월/5월/8월/11월 )

- 배당락일 : 배당일 ( 31 - 33일 ) 전

- 배당일 : 배당월 중순 ( 15일 )

- 배당금 : 1.55 달러 ( 2024.04 기준 )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5. 스타벅스 ( SBUX )

 

코카콜라와 검은물 메타로 유명한 스타벅스 ( SBUX ) 주식입니다.

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인기가 굉장히 높은 스타벅스, 너무 매력적인 주식입니다.

국내에서는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보낼 때 음료는 대부분 스타벅스 쿠폰이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 배당주기 : 연 4회 ( 2월/5월/8월/11월 )

- 배당락일 : 배당일 ( 14 - 16일 ) 전

- 배당일 : 배당월 23 - 26일

- 배당금 : 0.57 달러 ( 2024.02 기준 )

 

오늘은 이렇게 해외 배당주 다섯 종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많이 투자해본만큼 아주 매력적인 주식 종목들 입니다.

 

종목에 대한 상세정보에 대해선 추후 게시글 올리면서 다뤄볼 생각입니다.

모두들 배당으로 경제적 자유로움을 얻기를 바랍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입니다.

오늘은 주식의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 주식의 기초 용어 ]

 

< 시 가 총 액 >

주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한 값으로 상장회사 또는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로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입니다. 시가총액이 크다는 것은 실적뿐 아니라 미래의 성장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의 순자산 + 기대값(프리미엄가) 로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P B R > 

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 ) , 주식 1주 대비 순자산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시가총액(주식 1주)이 그 기업 자본(순 자산)의 몇 배인가 를 보는 지표입니다.

 

윗 그림) 시가총액 20억 , 자본 10억 -> PBR 2 (배) 가 됩니다.

 

< P E R >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 , 시가총액 대비 기업의 이익의 비율 을 나타낸 것입니다.

주가를 주식 1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몇 년을 벌어야 시가총액값이 되는가 를 보는 지표입니다.

 

윗 그림) 시가총액 20억 , 이익 1억 -> PER 20 (배) 이 됩니다.

 

< E P S >

주당순이익( Earings Per Share ) , 1주당 순이익을 보는 값으로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입니다.

이때 주당순이익 EPS는 납세 후 이익을 말합니다.

 

< R O E >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 대비 기업의 이익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본인이 투자한 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수익을 보고 있는가 에 대한 수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윗 그림) 자본 10억 , 이익 1억 -> ROE 10 (%) 입니다.

 

< R O A >

총자산순이익률( Return on Assets ) , 기업의 총자산 이익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ROE의 자기자본과 다르게, ROA는 부채가 포함된 값인 총 자산으로 비율을 보는 것입니다. ( 총자산 = 자기자본 + 부채 )

 

윗 그림에서 자본 10억 + 부채가 5억 = 총자산이 15억이라고 예를 들면,

자산 15억 , 이익 1억 -> 반올림값 ROA  6.67 (%) 이 됩니다.

 

 

< EV/EBITA >

기업의 시장가치( Enterprise Value ) 를 세전영업이익(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업의 가치가 영업활동을 통하여 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현금을 벌어들이는 능력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쉽게 예로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업의 시장가치평가액 20억 , 세전영업이익 2억 -> EV/EBITA 10 이 됩니다.

기업을 인수하기 위해 20억을 투자했을 경우, 투자금을 회수하는데 10년이 걸린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나타낸 것 입니다.

 

 

오늘은 주식 관련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업 분석할 때 가장 기본적이 되는 지표들을 정리해보았으며, 재무재표를 빠르게 판단하기에 가장 좋은 지표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 지표를 상세하게 보기위해서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등 추가로 봐야합니다.

 

모두가 주식으로 대박나는 그 날까지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였습니다.

파이프라인 형식으로, 

비교적 꾸준하고 안전한 배당주를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배당주 순위를 보려고 합니다.

배당주 순위는 대표적으로 1) 배당수익률 기준 , 2) 배당금 기준 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후자 2) 배당금 기준 으로 보려고 합니다.

 

 

일단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배당금이란, 기업이 이익을 발생시켜 회사내에 누적하여 온 이익 잉여금의 일부를 기업의 소유중게 분배하는 것 입니다.

 

기업의 이익잉여금은,

1) 미처분 이익잉여금 (회사에 쌓아둠)

2) 재투자 (R&D, 수익을 위한 투자 등)
3) 배당 (주주환원)

 

등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자사주를 매입하는 형식이라던지, 현금배당이 아닌 주식배당을 하는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현상(?) 이여서 현금 배당 순위에 대해서만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먼저, 코스피 KOSPI 시장의 배당금 순위입니다.

 

- 삼성화재우

- 삼성화재

- 현대차2우B

- 현대차우

- 현대차3우B

 

가장 높은 순위의 주식들입니다.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삼성화재우 , 현대차2우B 는 역시,,,좋은 주식입니다.

 

인기있는 배당주 기업으로 기업은행 주식도 있는데, 아무래도 주가와 배당금이 낮다보니 순위에 보이지는 않네요.

 

출처 : 네이버페이 증권

 

코스닥 KOSDAQ 시장의 배당금 순위입니다.

 

- 한국기업평가

- 리노공업

- 크레버스

- 솔브레인

- 멀티캠퍼스

 

순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한국기업평가와 크레버스는 배당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익숙한 주식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에 있는 기업들과는 달리,

국내 기업들은 주주환원정책이라던지, 주가방어를 위한 행동이 많이 미비하다고 생각합니다.

 

금융감독원이나 국가기관에서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개개인들도 주식투자를 할 수 있도록 더 좋은 시장, 더 엄격한 처벌 (분식회계, 횡령 등) 로 더 믿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하지만 더 좋은 정책들도 지금 생겨나고 있을거라 믿고, 더 훌륭한 기업도 나타날거라 예상해봅니다.

 

해외 주식들도 좋지만, 이번 기회에 국내 주식들도 관심 가지면서 투자해보는 건 어떨까요?

모든 분들이 투자를 하면서 즐거운 미소를 짓기를 바랍니다. ' 스톡있슈? 스톡인슈~ ' 입니다.

미국주식에는 대표적으로 3대 증권거래소 있습니다.

 

1. 뉴욕증권거래소 NYSE

2. 나스닥 NASDAQ

3. 아메리카증권거래소 AMEX (아멕스)

 

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뉴욕증권거래소 NYSE

 

미국 뉴욕 월스트리트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증권거래소이자 시가총액 기준 세계에서 가장 큰 곳으로 별칭 빅보드(Big Board)로 불리고 있습니다.

 

가장 큰 거래소인만큼 미국증권거래위원회의 심의가 엄격하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버크셔해서웨이(BRK), 존슨앤드존슨(JNJ), TSMC(TSM), 유나이티드헬스그룹(UNH), 비자(V) 등 있습니다.

 

 

2. 아메리카증권거래소 AMEX (아멕스)

 

뉴욕증권거래소 NYSE 건물 옆 도로에서 노상거래를 하던 장외시장에서 성장하여 탄생한 거래소입니다.

 

주로 중소형 기업들이 상장되어 뉴욕증권거래소 NYSE 나 나스닥 NASDAQ 에 비해 규모가 작은 곳이며 인기있는 ETF들이 상장되어 있는 시장입니다. S&P 500 을 추종하는 ETF인 VOO, SPY 가 여기에 상장 되어있습니다.

 

현재는, 2008년 뉴욕증권거래소 모기업 NYSE유로넥스트가 아메리칸증권거래소 AMEX 를 인수하면서, 같은 산하의 시장에 속해있습니다.

 

 

3. 나스닥 NASDAQ

 

투자 자금을 조달받을 수 있도록 IT벤처 기업의 상장 문턱을 낮추며 시작한 나스닥 NASDAQ.

현재는 그 IT벤처 기업들이 글로벌 대기업으로 성장하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거래소로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AAPL), 마이크로소프트(MSFT), 구글(GOOG,GOOGL), 테슬라(TSLA) 등 대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의 대표 3대 증권거래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3대 증권거래소에 속한 훌륭한 기업들. 국내 기업들도 따라가면서 국내 주가도 같이 쭉쭉 올랐으면 좋겠네요!

 

모두들 주식 성공하는 그 날까지 ' 스톡있슈? 스톡인슈~ ' 가 응원합니다.

패시브인컴,

패시브(passive)와 소득(income)의 결합된 말로, 소득을 얻으려는 노력을 거의 하지 않아도 수익이 생기는 것입니다.

카테고리 '투자하는거 있슈?' 에 보면 파이프라인의 설명이 있는데 그와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패시브인컴을 일으킬 수 있는게 어떤게 있을까요? 

제가 추천해드리고 싶은 방법 중 하나는 '배당주' 입니다.

 

우선 배당(Dividend) 이란?

사전적 용어로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소유 지분에 따라 기업이 이윤을 분배하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해드리면 회사의 이윤을 주주들에게 분배해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배당주(Dividend Stock) 는 무엇일까요?

배당주는 '배당을 꾸준히 주는 주식' 이라고 보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배당을 주는 기업들은 정기적으로 연 1회, 분기, 반기 마다 배당을 지속적으로 분배하고 있습니다.

또한 몇몇 해외주식 중에서는 월마다 배당을 주는 '월배당주' 도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그렇다면 무조건 배당주만 투자하면 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주가에 따른 배당수익률, 배당컷, 매매차익목적에 대한 기회비용 등 고려해야할 게 많은데요.

 

한 번 장단점을 몇 가지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 점 >

안정적인 현금 흐름 제공 

-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현금(배당금)

 

② 추가적인 수익

- 배당뿐만 아니라 주가상승률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복리효과

- 활용을 잘한다면 복리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배당이 들어오면 재투자하는 방식처럼 말이죠.

 

< 단 점 >

① 손실가능성

- 배당락(배당 지기준일) 이후, 배당이 확정되면 주가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또한 주식인만큼 경제적상황으로 주가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② 배당금 지급의 불확실성

- 배당지급이 중단되는 '배당컷' 의 위험성도 있을 수 있습니다.

 

기회비용

- 배당주에 투자한 대신, 더 큰 시세차익을 볼 수 있는 타 주식 매수의 기회비용을 놓칠 수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사항으로 세금, 경기상황, 배당수익률 등

고려할 사항이 많지만 기본적으로 이렇게만 안내도와드렸습니다.

 

모두가 현금흐름이 많아지고 여유로운 삶이 될 때까지 '스톡있슈? 스톡인슈~' 가 응원합니다.

나도 주식을 해보고싶은데,,,

국내 코스피, 코스닥 등 어려운 말이 많은데요. 도대체 무엇일까요?

 

주식 시장은 크게 나누어보면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국내 시장, 그 중 유통시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통시장에서 볼 수 있는 시장은 크게 몇가지 있는데요.

 

(장내시장, 거래소시장)

1. 유가증권시장 (KOSPI)

2. 코스닥시장 (KOSDAQ)

3. 코넥스시장 (KONEX)

 

(장외시장)

4. K-OTC (비상장)

 

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 네이버 증권

 

1. 코스피 (KOSPI) 

- 유가증권시장으로 표기하며, 약 800개의 기업이 등록되어 있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시장

- 여러가지 조건이 충족한 회사의 경우만 코스피 시장에 상장할 수 있습니다. (자본금, 수익성, 기업 규모 등)

- 주로 중대형 우량기업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네이버, 셀트리온 등 ) 이 속해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2. 코스닥 (KOSDAQ)

- 미국 나스닥시장(NASDAQ)을 벤처마킹하여 1996년도에 설립한 시장

- 코스피(KOSPI)의 문턱이 높아 상장불가한 기업들에게 문턱을 낮춤으로써 더 많은 기업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시장

- 1,400 - 1,500개의 기업이 등록되어 있으며, 주로 중소형 벤처기업 ( 에코프로비엠, JYP Ent, 펄어비스 등) 이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3. 코넥스

- 창업시기가 얼마 되지 않은 초기 중소기업을 위한 시장 

- 코스닥(KOSDAQ)에 상장되기에는 부족한 기업들을 위한 시장

- 130~140개의 기업 등록되어 있으며, 창업 초기 중소벤처기업 ( 원포유, 나라소프트, 바이오프로테크 등 ) 이 있습니다.

 

출처 : K-OTC

 

4. K-OTC (장외시장, 비상장주식시장)

- 비상장주권의 매매거래를 위해 개설한 시장, 규제가 최소화된 장외시장으로 고위험, 고수익으로 투자위험이 높은 시장

- 상대매매방식, 상대방과 마음만 맞으면 어떠한 가격에도 거래가 가능한 가격 왜곡, 불공정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장

- 비상장기업 중 직접금융 활성화를 위한 혁신 기업 ( SK에코플랜트, 메가젠임플란트, 오상헬스케어 등) 이 있습니다.

 

* 장내시장 -> 매수자, 매도자 간의 상호 경쟁에 의한 경쟁매매방식

* 장외시장 -> 매수자, 매도자 간의 협의에 의한 상대매매방식

 

국내 시장은 이렇게 총 4개의 시장이 있으며 투자를 할 수 있는 기업이 많습니다.

국내 시장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주식 투자를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모두가 부자되는 그 날까지 '스톡있슈? 스톡인슈~' 가 응원합니다.

+ Recent posts